top of page
  • 메타브리드

관광 업계의 메타버스 활용전략


​ ​


가상의 공간에서 신나게 여행을 즐기고 체험할 수 있도록 많은 관광 업계들이 메타버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. 메타버스는 코로나19 등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MZ 세대에 경험을 제공해 브랜드 친숙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. ​ 관광 업계에서도 가상의 환경에서 여행과 관련된 체험과 프로모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. 오늘은 관광 업계의 메타버스 활용 전략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​ ​


누적 방문 수 33.9M 돌파, 관광 마케팅의 대표적 케이스 한강공원

출처 : 제페토 한강공원 월드맵

제페토를 통해 가보고 싶은 한국 관광지 설문에서 1위를 차지한 한강공원을 제페토에 구축하였는데요, ​ ​




실제 강변에 온 것 같이 반포대교 무지개분수와 남산N타워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. ​ 편의점에서 라면을 끓여 먹고 튜브스터를 타고 한강 위를 건너기도 하고 친구와 같이 러닝 하는 등 오프라인에서 경험했던 모든 경험들을 온라인을 통해서도 체험해 볼 수 있습니다. ​ ​

​체험이 끝난 후에는 유저들이 자신의 아바타를 두고 직접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으로 브이로그나 뮤직비디오, 드라마로 각색하는 등 가상 공간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을 스토리 형식의 콘텐츠를 만들어 자신의 SNS에 올리기도 합니다. ​ ​


한국관광공사, "제페토에서 보물 같은 한국 관광지 탐험하기"

출처 : 제페토 한국관광 테마월드 시리즈 '트레블 헌터-k'

제페토 유저들이 자신의 아바타로 트래저 헌터 K가 되어 한국 테마월드를 탐험하고, 최고의 헌터가 되면 방한 티켓과 굿즈 박스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는 월드 오픈 이벤트를 열었습니다. ​ ​


출처 : 제페토 한국관광공사 공식 계정 레아 (@kto_rea)

​ ​ 공사 대표 캐릭터 호종이의 잃어버린 엄마를 찾아주기 위해 한국의 산과 계곡을 달리는 '타이거 마운틴'과 지역 음식을 소재로 한 '야시장' 시대별 한복 문화와 동서 남해를 순환하는 '바다열차' 등 8개의 테마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. ​ ​

출처 : 제페토 한국관광공사 공식 계정 레아 (@kto_rea)

월드에 방문하여 인증샷을 촬영하고 월드 태그와 함께 피드에 업로드하는 등 다양한 미션 진행으로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사용자들이 직접 체험하고 경험함으로써 한국의 다양한 지역 관광지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. ​ ​ ​

한국공항공사, '청주메타공항 월드 오픈'


​ ​한국공항공사 청주공항은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 국내와 국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'청주메타공항'월드를 오픈하였습니다. ​ 타겟팅 실수로 청주메타 공항에 불시착한 외국인 관광객 트래비스가 새내기 승무원 주청을 만나 공항을 투어하면서 청주와 충북도의 매력에 빠지는 내용으로 몰입을 불러일으킵니다. ​ ​

​청주 국제공항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가상의 월드는 공간 체험부터, 충북도의 대표 관광지인 충주호에서 짚라인 액티비티까지 다채롭게 즐길 수 있습니다. ​



​ 또한, 월드 오픈 이벤트로 청주메타공항 월드 내에서 만날 수 있는 공식 마스코트 포티와 함께 인증샷을 촬영하고 본인 피드에 업로드하거나 청주메타공항 대표 캐릭터 '주청'과 함께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포토존을 곳곳에 마련하여 이용자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합니다. ​ ​ ​

가상과 현실을 오가는 메타버스 여행

오프라인 장소를 그대로 구현한 월드 제작, 관광명소에서 즐기는 퀘스트, 곳곳에 설치된 멋진 명소에서 사진 촬영하기 멋진 인증샷을 sns를 통해 공유하는 이벤트까지 유저 체험형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. ​ 가상과 현실을 오가는 메타버스 여행, 가상 공간에서는 오프라인에서 체험하지 못한 즐길 거리도 더욱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고 가상공간에서의 흥미로운 관광 경험으로 실제 오프라인 방문까지 이어질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 ​ 현재 관광 업계에서는 메타버스 마케팅을 통해 디지털 소통에 익숙한 MZ세대의 적극적인 참여와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.

월드 구축, 아이템 제작, 인플루언서를 통한 홍보 마케팅, 이벤트 기획 등 다양한 케이스를 토대로 메타버스 마케팅을 진행하는 메타브리드를 통해 메타버스 활용 전략 세워보시기 바랍니다. ​

조회수 38회댓글 0개

최근 게시물

전체 보기
bottom of page